이것만은 꼭 기억해라! 개물림 사고 피하는 방법!

개 물림 사고는 최근 <헤이마리>에서도 다룬 적이 있는데요. 얼마 지나지 않아 또다시 개 물림 사고가 뉴스를 통해 보도돼 안타까운 마음이 큽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개 물림 사고를 피하는 방법과 개 물림 사고 직후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수많은 매스컴을 통해 알려졌지만, 수없이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개 물림 사고 예방법! 다시 한번 알아보도록 해요.

WRITER 이은지(heymari EDITOR IN CHIEF)


● 맹견이나 흥분한 개를 만났을 때 해서는 안 되는 행동

맹견이나 흥분한 개를 만나면 무섭고 두려운 마음에 일단 도망가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등을 보이고 도망가는 것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화난 개의 추적 본능을 자극한다고 합니다. 즉 도망가는 행위는 개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아닌, 개 물림 사고를 유발하는 행동인 셈입니다.

이 밖에도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은 개의 눈을 빤히 바라보는 것, 개와 정면으로 마주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 흥분한 개를 진정시키는 법

흥분한 개, 맹견으로부터 탈출하는 방법으로는 옆으로 고개를 돌리고 눈을 아래로 내린 뒤 두세 번 깜박 거리는 것입니다. 이는 ‘나는 너를 공격하려는 의도가 없어. 우리 화해할래?’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 중 하나인 개의 눈을 빤히 바라보는 것과 정반대되는 행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대각선으로 비스듬하게 서서 개가 진정되길 기다리는 것, 손에 들고 있는 물건을 자신이 있는 곳과 반대 방향으로 던져 개의 관심사를 돌리는 것 등이 있습니다.

● 개 물림 사고를 당한 뒤 응급처치

그럼에도 개 물림 사고를 당했다면 응급처치가 중요합니다. 상처가 발생한 즉시 흐르는 물에 세척을 한 뒤 병원을 찾아 전문의에게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사고 발생 직후 해당견의 보호자는 상대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하며, 혹시라도 자신의 반려견에게 질병이 있다면 알려줘야 빠른 처치가 가능하겠죠?

● 개 물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 ‘펫티켓’

개 물림 사고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견주들이 ‘펫티켓’을 지키는 것입니다. 외출 시에는 적절한 길이의 목줄이나 가슴줄을 착용하고, 맹견인 경우 필수적으로 입 마개를 착용합니다.

또 잘 흥분하거나 무는 버릇이 있다면 산책 시 노란 리본을 다는 ‘노란 리본 캠페인’에 동참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산책줄이나 개에게 노란 리본이 달려 있는 것은 ‘아직 난 사회화가 안됐어요’ 혹은 ‘무는 버릇이 있어요’ 등의 의미로 낯선 이들이 다가오는 것을 주의해 달라는 표시라는 것, 꼭 기억해 주세요!

Start typing and press Enter to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