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안구 건강! 반려동물 안구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출처 24시아프리카동물메디컬센터 WRITER 김재은

지난 9월호 <헤이마리>에서는 장수의 필수 조건인 치아 건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반려동물의 안구 관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우리 강아지의 눈곱이 자주 끼는 정확한 이유를 알고 있나요? 또 고양이 눈병 치료가 늦어지면 실명까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나요? 이 모든 궁금증을 풀어줄 안구 관리의 모든 것.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강아지 눈곱의 종류와 원인

강아지의 코와 귀, 눈이 지저분하면 건강이 좋지 않다는 것은 모두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강아지 눈곱의 원인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강아지의 안구 관리는 눈곱에 집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도 별다른 문제가 없어도 눈곱이 끼듯이 강아지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눈곱의 색에 따라 문제가 되기도 하니 잘 살펴봐 주세요.

회색 눈곱

검회색의 눈곱은 자연스럽게 끼었을 확률이 큽니다. 그냥 떼어 내 주면 되는데, 굳어져서 잘 떼어지지 않는 경우, 억지로 뗀다면 반려견이 통증을 느끼고 상처가 나기도 합니다. 거즈 같은 것에 미지근한 물을 묻히고 강아지의 눈곱 부위에 대줍니다. 어느 정도 그 부위가 불게 되면 살짝 떼어내 주세요.

진득하고 누런색 눈곱

누런색에 진득한 눈곱이라면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반려견의 눈이 충혈 되어 있고, 눈을 제대로 못 뜨는 등의 현상이 관찰된다면 눈병에 걸렸을확률이 큽니다. 빠르게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이유와 치료가 이뤄져야 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백내장의 경우, 강아지의 눈을 하얗게 변하게 만드는 증상이 동반되는데, 시력 장애를 일으키는 만큼 보다 빠른 처치가 필요합니다.

Point! 방치하지 않기

앞서도 언급했듯이 강아지의 눈과 귀 등이 지저분한 것은 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눈곱의 색보다 중요한 것은 문제가 보이면 바로 병원을 방문하는 등 조치를 취해주는 것, 결국 방치하지 않는 것입니다. 안구 질환은 가만히 내버려 둔다고 자연 치유되는 형태의 질병이 아닙니다. 눈병의 경우 사람들도 그렇지만 동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심각해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시력 손상에 영향을 줄 확률이 높아집니다. 평소 우리의 가족인 반려견에게 관심을 갖고 주의 깊게 살펴 봐주세요.

고양이 눈병

고양이의 눈병은 처치가 늦어지면 시력 저하, 또는 실명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눈이 아닌 다른 질병으로 인해 눈에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잘 관찰해 증상이 나타났을 때 곧바로 동물병원을 방문해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고양이 눈병은 비교적 알아차리기 쉬운 편에 속합니다. 평소 잘 체크하고 있다면 눈의 이상을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악화되기 전 조기 치료가 가능합니다.

고양이 결막염

고양이 결막염이란 안구와 눈꺼풀 사이의 결막이라고 불리는 부분의 염증을 말합니다.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 알레르기, 심한 눈 비비기, 다른 질병 등 다양한 것이 원인이 됩니다. 증상으로는 눈이 충혈되고 가려움증으로 인한 긁는 행동, 눈물, 안구 및 눈 주변 붓기, 잦은 깜빡임 등이 있습니다. 반려묘가 결막염에 걸렸을 경우 안약이나 연고를 넣고, 눈 세정을 통해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질병으로 인해 발병한 경우에는 질병 치료를 병행합니다.

고양이 각막염

결막염과 혼동하기 쉬운 각막염은 안구 표면에 해당하는 부분의 염증을 말합니다. 결막염이나 녹내장, 알레르기, 바이러스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합니다. 증상은 안구 전체의 색이 탁해지고 눈물이 많아지며, 안구가 붓고 심한 통증과 함께 가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중증으로 발전하면 외형도 변하게 되고 각막 궤양, 각막 천공으로 발전해 시력 저하와 실명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각막염은 세정이나 점안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각막 궤양까지 발전한 경우 수술도 필요합니다.

고양이 백내장

고양이 백내장은 병명 그대로 안구의 수정체가 하얗게 탁해지는 질병으로 싸움이나 사고로 인한 눈 부상, 질병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백내장은 시야가 하얗게 흐려지다가 갈수록 시력을 잃게 됩니다. 사실 고양이 백내장의 완치는 어렵습니다. 증상이 심해진 경우 희고 탁한 수정체를 적출하고 인공 렌즈를 장착하는 수술 등의 치료를 실시해야 합니다.

고양이 녹내장

고양이 녹내장은 안구 중 수분이 배출되지 않고 쌓이는 것으로, 안압이 높아져 시각 장애와 다양한 증상을 일으킵니다. 싸움이나 사고 등으로 눈을 다치거나 복막염이나 고양이 백혈병 등의 질병으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양이가 녹내장에 걸리면, 각막이 하얗게 탁해지고 충혈과 안구 붓기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초기 단계에는 치료가 가능하지만 처치가 늦어지면 실명의 위험성도 있습니다. 점안약과 수술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실명이 된 경우 안구를 적출해야 합니다.

고양이 망막 박리

노령묘에게 주로 나타나는 망막 박리는 눈 안쪽에 있는 얇은 막이 벗겨진 상태에서 시각을 잃어버리는 질병입니다. 주로 고혈압이 원인이 됩니다. 고양이 망막 박리는 실명이 될 때까지 증상을 알아차리기 어렵습니다. 실명 외에도 눈의 충혈이나 안구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이 되는 질병을 치료하거나 증상을 억제하는 약물, 수술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증상이나 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Start typing and press Enter to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