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슬개골 탈구 A부터 Z까지 총정리

슬개골은 반려견 보호자라면 대부분 알고 있을 것입니다. 슬개골 탈구가 생기면 정상적인 보행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주로 소형견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대부분 선천적인 원인이며, 후천적인 원인은 교통사고나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빠지게 됩니다. 이번에는 N동물의료센터와 함께 슬개골 탈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WRITER 최별희 자료 제공 N동물의료센터


슬개골 탈구 증상

슬개골 탈구의 증상으로는 간헐적 파행과 지속적 파행이 있습니다. 먼저 간헐적 파행은 슬개골이 정상적인 위치에 있을 때는 통증이 없어 잘 걸어 다니지만, 특정 상황에 의해 슬개골이 탈구가 되면 인대들이 당기는 통증이 생겨 일시적으로 다리를 드는 증상을 보입니다. 또 특정 상황에서 벗어나면 뼈가 다시 맞춰져 통증이 사라지게 됩니다.

지속적 파행은 슬개골 탈구로 인해 퇴행성 관절염을 동반하는 경우입니다. 반려견이 산책을 할 때 다리 한 쪽을 들고 서 있다가 다시 내려 놓는 증상이나 잘 움직이던 반려견이 갑자기 다리 한쪽을 학다리처럼 들고 있다가 어떤 순간이 되면 다시 다리를 내려놓고 정상적으로 걷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이 반복된다면 슬개골 탈구를 의심,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슬개골 탈구 기수 구분

1기 슬개골이 항상 제자리에 있으며, 힘을 줘야 슬개골이 탈구되고 바로 제자리로 돌아오는 단계

2기 슬개골 대부분이 제자리에 있으나, 크지 않은 힘으로 밀었을 때 탈구가 되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단계

3기 슬개골은 항상 빠져있는 상태지만 작은 힘으로도 다시 환납 가능한 단계

4기 항상 빠져있는 상태이며, 힘으로 슬개골을 환납 할 수 없는 단계

슬개골 탈구 치료 방법

슬개골 탈구의 치료방법은 수술을 받는 것이 가장 우선시됩니다. 후천적인 슬개골 탈구인 교통사고나 일시적인 큰 충격에 의해서 관절에 안정성이 깨진 경우라면 보존적 치료로 깁스나 보조 기구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1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수술을 하지 않고 지낼 수도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 예방법

슬개골 탈구는 선천적인 문제가 많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예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슬개골 탈구가 1기에 해당한다면 더 이상 악화되지 않게 관리를 해주면 좋습니다. 관리법은 반려견이 서서 두 발로 뛰거나 미끄러지는 상황을 피해주고, 침대나 소파에 계단 같은 것을 이용해 반려견의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해줍니다. 또 집에서 공이나 인형 등 장난감을 던져 갑작스럽게 도는 운동을 피해줘야 합니다.

반려견이 느끼는 통증

슬개골이 순간적으로 빠지면 반려견은 극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 3기가 되면 완전히 빠져 있는 상태가 되는데, 오히려 통증이 없습니다. 그로 인해 보호자들이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 치료 시기가 늦어지기도 합니다. 반려견의 걸음걸이가 이상하다면, 괜찮아졌다 하더라도 꼭 병원 검진을 받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슬개골 탈구 수술 종류

활차구 성형술 활차구 성형술은 활차구를 깊게 파줘서 슬개골이 빠지지 않게 하는 수술입니다.

경골내측회전방지 봉합술 인공 인대를 걸어 돌아가 있는 인대를 잡아 돌리는 방법입니다.

경골결절 조면 이식 수술 뼈를 잘라서 방향을 틀어줌으로써 인대가 정위치로 가게 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지대 중첩술 슬개골을 잡아주는 인대들이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이 부분이 안쪽으로 빠지게 되면 인대가 늘어나기 때문에 접어 준다거나 잘라서 당겨주는 수술 방법입니다.

직근분리술 슬개골 위쪽으로 직근이 같이 붙어 있는데, 직근이 안쪽으로 변위되어 있는 경우 직근을 분리해 정위치로 돌려주는 수술입니다.

Start typing and press Enter to search